1. 물리적 환경의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
물리적 환경이란 건물, 교지, 시설 내부와 외부의 각종 설비, 교재·교구등의 물리적 요소를 포함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물리적 환경은 인간의 사고와 정서, 행동 및 타읜과의 상호작용 여부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보육목표 달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영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은 영유아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질 높은 물리적 환경이 제공되는 곳에는 영유아들이 안정감을 느끼고 놀이와 활동에 집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놀이와 학습활동을 통하여 신체, 인지, 언어 및 사회정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영유아교육기관에 영유아를 보내는 부모나 보호자가 제일 우선으로 바라는 것은 무엇보다 영유아가 안전하게 보호받는 것이다. 사고나 위험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보육환경은 영유아로 하여금 영유아의 놀이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하도록 하여 건강한 신체와 심리적 안정감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실내외 시설 및 설비를 안전하게 설치하고 관리하고 비상시 대처방안을 수립하여 예방과 훈련을 통한 대처능력을 키움으로써 영유아를 주의 깊게 보호하고, 어린이집의 일과에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 영유아가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유아는 주변의 사물과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 탐구하려는 충동이 강하지만, 성인에 비하여 신체 능력 발달이 미숙하여 신체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나 운동 기능이 충분하게 발달 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영유아에게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지식과 상황판단 능력이나 위험한 상황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항상 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영유아시기에 안전에 대해 반복적으로 교육하여 안전에 대한 민감성을 키워주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2. 실내시설의 안전수칙
1) 활동실의 안전수칙
영유아교육기관의 실내시설은 영유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므로 각별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할 안전수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실내시설 및 가구
영유아들이 하루종일 사용하고 있는 활동실 및 가구의 안전관리 수칙은 다음과 같다.
① 영유아 만 두고 활동실을 비우지 않아요.
② 영유아를 돌보며 행정업무를 하지 않아요.
③ 가구 위에 무거운 것이나 위험것을 올려두지 않아요.
④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글루건, 뜨거운 물이 들어 있는 텀블러나 컵 등은 활동실에
두지 않아요.
⑤ 활동실 가구에는 모서리 보호대, 안전잠금 장치를 설치해요.
(2) 문 및 창문
① 문을 열고 닫을 때 문 앞에 영유아가 있는지 살펴보아요.
② 문닫힘 방지대를 반드시 사용해요.
③ 창문 아래쪽에는 영유아가 기어오를 수 있는 가구나 비품 등을 두지 않아요..
(3) 바닥 및 벽
① 영아가 삼킬만한 이물질, 영유아 발에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물건, 발을 다치게 하는 물건이 있는지 수시로 점검해요.
② 게시된 액자 등이 벽에 떨어질 염려가 없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단단하게 고정시켜 놓아요.
③ 벽에 압핀이나 압정 대신 파일바인더, 나무집게 등을 사용해요.
(4) 전선 및 콘센트
① 모든 전선은 짧게 정리해 놓아요.
② 하나의 콘센트에 많은 플로그를 꼽지 않아요.
③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덮개로 덮어 놓아요.
④ 콘센트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옆으로 돌려 놓아요.
2) 놀잇감의 안전수칙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놀잇감의 위험요소를 항상 점검하여 영유아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데 안전한 놀잇감 선택의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다.
먼저는 바닥에 걸려 넘어지거나 밟아 다칠만한 놀잇감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만 0~1세 영아에게 직경 3.5 ㎝ 이하 놀잇감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장이나 파손되어 위험한 놀잇감이 있는지 매일 확인한다. 또한 놀잇감의 재질과 구조에 따른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1) 재질에 다른 안전수칙
① 안전검사에 합격한 제품이어야 한다.
② 무독성 페인트를 사용한 것이어야 한다.
③ 빨거나 만질 때 표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야 한다.
④ 헝겊으로 만든 놀잇감은 불연성이어야 한다.
⑤ 나무로 만든 놀잇감은 쉽게 가시가 일어나거나 마모되지 않아야 한다.
⑥ 화학섬유로 만든 것이나 합성 머리카락이 달린 인형은 좋지 않다.
⑦ 유리나 깨지기 쉬운 금속의 놀잇감은 사용하지 않는다.
(2) 구조에 따른 안전수칙
① 내구성이 강하고 조립상태가 견고한 놀잇감이어야 한다.
② 0세, 만1세 영아에게 제공되는 놀잇감은 지름이 3.5 ㎝ 이상이어야 한다.
③ 너무 무겁거나 복잡하지 않는 놀잇감이어야 한다.
④ 질식, 목졸림 등의 위험이 있거나 뾰족한 모서리, 깨짐, 균열, 헐거운 나사나 볼트, 끝이 깨진 사기그릇, 안전 처리되지 않은 깡통, 화상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총, 화약을 이용한 불꽃놀이 놀잇감, 장시간 현란한 빗을 발생하는 놀잇감등은 제공하지 않는다.
3. 실내 안전 수칙에 대한 예방시설 및 설비
실내 안전 수칙에 대한 예방시설 및 설비를 사고 내용과 맞추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고 내용 | 예방시설 및 설비 |
① 추락사고 방지시설 세로 난간, 안전 방충망, 창문 고정장치, 안전문, 안전울타리 |
|
② 미끄러짐 및 넘어짐 방지시설 논슬립, 벽면 손잡이 봉, 미끄럼방지 타일 및 패드, 문턱 없앰, 충격 방지 매트 |
|
③ 감전사고 방지시설 전깃줄 정리, 콘센트 안전 커버, 안전형 콘센트 |
|
④ 화재사고 방지시설 소화기,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가스레인지, 스위치 커버 |
|
⑤ 화상 방지시설 온수 조절장치, 화상 방지 수도꼭지, 온도계 수도꼭지 |
|
⑥ 협착, 끼임 사고 방지시설 끼임 방지용 완충재(문, 창문) 현관문 안전장치(도어체크), 창문 고정 장치 |
|
⑦ 충돌사고 방지시설 벽체 완충재(쿠션 매트, 모서리 보호덮개, 가구 넘어짐 방지대 |
|
⑧ 베임, 찢어짐, 찔림 방지시설 싱크대 및 가전 잠금장치, 모서리 보호대, 싱크대 칼 |
출처 : 김유나(2020). 생활안전사고 실태분석과 예방방안에 관한 연구
'보육교사 2급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지오 에밀리아의 철학, 교육사상, 교육방법 및 교사의 역할 (0) | 2022.06.18 |
---|---|
영아와 유아를 위한 그림책 선정 및 그림책의 특징과 언어교육 활용방법 (0) | 2022.06.18 |
우연의 효과 기법 및 종류와 예시 (0) | 2022.06.16 |
아동복지정책의 개념, 방향, 유형, 원칙 (0) | 2022.06.15 |
아동관찰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이해 및 아동관찰의 종류 (0) | 2022.06.14 |
댓글